스타트업을 위한 금형사출 vs 금속사출 차이점과 성공적인 제조 팁

2024-11-26


금형사출? 금속사출? 이 둘은 이름은 비슷하지만 사용하는 재료와 목적이 꽤 다르다는 점을 아시나요? 이 두가지는 모두 사출 성형 방식이지만, 사용되는 소재와 제조공정이 다르기 때문에, 제품 특성에 맞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하드웨어 스타트업이 꼭 알아야 할 제조 공정 중 금형사출과 금속사출의 차이점과 스타트업에서 제품을 성공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팁도 알아볼게요.




금형사출과 금속사출, 무엇이 다를까?


금형사출이란?

금형사출(Injection Molding)은 우리가 흔히 알던 플라스틱으로 제품을 만드는 방식입니다. 플라스틱을 녹여 금형에 주입하고, 굳힌 뒤 꺼내서 제품을 만드는 공정이에요. 주로 스마트폰 케이스, 헤드폰 외장,자동차의 플라스틱 부품 등 가벼운 제품을 대량 생산할 때 유용합니다.


  • 예 : 스마트폰 케이스

금형에 열가소성 플라스틱(예: ABS, 폴리카보네이트)을 주입하면, 제품이 빠르게 굳으며 완성돼요. 덕분에 색상, 모양이 다양한 케이스를 한 번에 대량으로 만들 수 있답니다.


  • 장점: 

금형사출은 빠르고 저렴하게 제품을 생산할 수 있어요. 특히 프로토타입을 만들 때 유용합니다. 물론 내구성이 강하지 않아서 내구성이 중요한 부품에는 적합하진 않지만, 가벼운 부품이나 대량 생산이 필요한 제품에는 아주 좋은 선택입니다. 따라서 초기 금형 제작 비용은 들지만, 대량 생산에 적합하고 개당 단가가 저렴해 경제적입니다.



금속사출(MIM)이란?

금속사출(Metal Injection Molding, MIM)은 금속을 사용하는 방식인데요.  금속 가루와 바인더(폴리머)를 섞은 후 금형에 주입해 성형하는 공정이에요. 이후에는 탈바인더소결(열처리) 과정을 거쳐 금속의 강도와 밀도를 높입니다. 이 공정은 스마트워치 프레임, 의료 기기 같은 정교하고 튼튼한 부품 제작에 적합해요.


  • 예시: 스마트워치 프레임

워치처럼 얇고 복잡한 금속 구조는 일반 금속 가공으로 만들기 어려워요. 하지만 MIM으로는 한 번에 다수의 정밀 부품을 만들 수 있답니다.


  • 장점:

복잡한 금속 부품을 기존 CNC 가공보다 빠르고 경제적으로 생산할 수 있어요.



금형사출 vs 금속사출 비교표

항목

금형사출

금속사출

재료

플라스틱

금속분말 + 바인더

공정

플라스틱 녹여 금형에 주입

금속분말 혼합물을 주입 후 소결

강도

낮음

매우 높음

정밀도

중간

매우 높음

적용 제품

스마트폰 케이스, 장난감

스마트워치 프레임, 의료기기



스타트업을 위한 성공적인 제조 팁


그럼 이제 스타트업에서 금형사출과 금속사출, 이 두 가지 방법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금형사출을 선택할 경우

금형사출은 빠르고 경제적인 방법이에요. 예를 들어, 스타트업에서 새로운 스마트폰 액세서리를 만들려고 할 때, 초기 비용을 줄이고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만들 수 있어요. 디자인을 수정하거나 시장 반응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어, 제품을 빨리 시장에 출시하고 싶은 스타트업에 적합하죠.


하지만, 내구성이 중요한 부품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부품이지만 내구성이 중요한 제품이라면 금형사출로는 한계가 있을 수 있어요. 그런 경우에는 다른 옵션을 고려해봐야해요.


금속사출을 선택할 경우

금속사출은 고강도, 고정밀 부품을 만들 때 유리해요. 예를 들어, 의료 기기나 고급 전자기기 부품처럼 내구성과 정밀도가 중요한 경우에는 금속사출이 좋은 선택이죠. 하지만, 금속사출은 초기 비용이 더 들고, 공정 시간이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대량 생산보다는 특수한 제품을 만드는 데 적합해요.


금형사출은 초기 비용이 적고 빠르게 시장에 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타트업에서 제품을 빨리 론칭하고 싶다면 유리한 방법입니다. 하지만 내구성과 정밀도가 중요한 제품이라면 금속사출을 고려해봐야해요. 하지만 이것 또한 그만큼 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높다는 점에서 고려해야할 점입니다.


또한 금형사출은 다양한 플라스틱 소재를 활용할 수 있고, 금속사출은 금속의 특성을 고려해서 선택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내식성, 내열성 등이 있어요.




스타트업이라면 제품의 특성과 예산, 생산 규모를 고려해 가장 적합한 공정을 선택 하셔야해요. 금속사출을 고려하고 있다면, 금속사출에 사용되는 금속 분말 재료의 선택도 중요하답니다.


다음 콘텐츠에서는 금속사출에 사용되는 금속분말 재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제조 고민이 있으신가요? 인탑스는 하드웨어 스타트업을 위해 제조지원 서비스 플랫폼인 페이퍼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디자인, 설계, 제조, 양산 등 전문가에게 직접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 기회! 제품의 상품성을 확인하고 싶다면, 지금 바로 페이퍼프로그램 지원 프로그램에 신청해보시기 바랍니다.


페이퍼프로그램은 매월 1:1 원데이 맞춤 코칭데이와 10주간의 액셀러레이팅 컨설팅 프로그램을 통해 스타트업의 여정에 함께하고 있습니다.


 그럼, 오늘도 성공적인 제품 개발 되세요! 😊

인탑스(주)

CEO : 김근하  |  사업자등록번호 : 123 81 06645

Paper Program, a part of Intops 

문의 : startup@intops.co.kr

전화 : 031 441 4181

 

Copyright ⓒ 2024 Paper Program. All rights reserved.

인탑스(주) | CEO : 김근하 | 사업자등록번호 : 123 81 06645
Paper Program, a part of Intops

Copyright ⓒ 2024 Paper Program. All rights reserved.